블로그 이미지
즐거운 세상 사는 이야기, 세상 사 모두가 즐겁지 아니한가?
랑세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행복하고 싶으면 명상으로 마음의 눈을 떠라

글 윤종모 주교 | 편집 홍헌표 기자 2019-07-03

 

자아초월 심리학자인 켄 윌버는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눈은 3가지가 있다고 한다. 첫 번째의 눈은 육체의 눈(eye of flesh)이요, 두 번째의 눈은 마음의 눈(eye of mind)이며, 세 번째의 눈은 정관의 눈(eye of contemplation)이라는 것이다.

 

 

육체의 눈은 우리가 사물을 보고 사물을 인지하는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신체의 눈을 말하며, 마음의 눈은 사물의 외형 너머 의미의 세계를 볼 수 있는 지혜의 눈이며, 정관의 눈은 좀 더 깊은 차원의 영성의 눈으로 세상을 관조할 수 있는 눈이다.

 

나는 상담이나 명상, 혹은 정신건강 등을 강의할 때, 우리가 세상을 살아갈 때 정관의 눈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마음의 눈은 가지고 살아가라고 강조하곤 한다. 왜냐하면 마음의 눈을 가지게 될 때 우리는 좀 더 행복하고 좀 더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모두 행복하기를 원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의 행복지수는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에 비하면 턱없이 낮은 편이다. 왜 그럴까? 우리나라 사람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 혹은 성취할 수 있는 것에 비해 욕망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그래서 경제 규모에 비해 행복지수가 낮은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이 사실을 잘 모르고 있다. 그냥 우리가 가난하고 못 살기 때문에 행복지수가 낮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행복에 대한 외부적 요소, 예를 들어 돈, 명예, 권력 등은 언제든지 사라질 수있고, 빼앗길 수도 있다. 행복에 대한 좀 더 안전하고 완벽한 요소는 마음 속에 있다. 고대 그리스의 스토아 철학자들은 이 점을 일찍이 간파하고 “행복은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마음속에 있다"라고 주장했다. 그 외에 수많은 현자들이 이와 비슷한 말을 했다.

마음의 눈을 뜨면 이 사실이 보인다. 마음의 눈을 뜨면 삶과 더불어 세상의 모든 것들을 다른 각도에서 새롭게 보는 지혜가 생긴다.

행복하려면 욕망을 줄이든지, 아니면 그 욕망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을 키우든지, 그것도 아니라면 세상사 모든 일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마음 훈련을 해야 한다. 사실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마음의 훈련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직장에서 같은 일을 하며 같은 보수를 받고 있는 두 사람이 있다고 하자. 그런데 한 사람은 일은 많고 보수는 적어서 힘들어 못해 먹겠다고 늘 불평을 늘어놓곤 한다. 또 다른 한 사람은 일이 많아도 그 일로 많은 것을 배우고 있으며 보수가 적긴 하지만 아껴 쓰면 견딜만 하다고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면 누가 더 행복할까?

 

말할 것도 없이 후자가 더 행복할 것이다. 그리고 후자가 진급도 더 빠르고 삶을 더 성공적으로 살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은 모두 자신의 인생 각본을 가지고 살고 있다. 행복한 사람은 행복 각본을 가지고 살고 있고, 불행한 사람은 불행 각본을 가지고 살고 있다. 위에서 말한 두 사람 중에 전자는 불행 각본을 가지고 살고 있는 사람이며, 후자는 행복 각본을 가지고 살고 있는 사람이다.

그런데 마음의 눈을 뜨면 행복 각본과 불행 각본의 본질이 보이고, 자신이 어떤 인생 각본을 가지고 있는지 보인다. 미국의 상담 심리학자인 하워드 클라인벨은 마음의 눈을 ‘새로운 의식의 창’이라고 표현한다.

 

마음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라. 그러면 삶에 여유가 생기고,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긍정적인 면을 발견하고, 모든 것에 감사하는 마음을 형성하며 삶이 풍요롭고 행복해진다.

 

마음의 눈을 뜨게 하는 가장 좋은 도구는 명상이다. 행복하고 싶은가? 그러면 마음의 눈을 뜨라. 마음의 눈을 뜨고 싶은가? 그러면 명상하라.

 

윤종모 주교의 명상 칼럼(http://mindgil.chosun.com/client/board/view.asp?fcd=F1021&nNewsNumb=20190668136&nCate=C01&nCateM=M1002)

 

[아잔 브람 명상론1] 큰 그림

2019. 11. 23. 17:19 | Posted by 랑세

*

당신이 절에 살든, 도시에 살든,

혹은 가로수가 늘어 있는 조용한 거리에 살든,

다른 어디에 살든

때로 문제와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삶이라는 게 본래 그렇다.

 

*

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때

" 의사 선생님

제게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났습니다.

병이 났습니다."

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

차라리

" 제게 정상적인 일이 일어났습니다.

오늘 병이 났습니다."

라고 말해야 한다.

사람의 몸은 때로 병이 나는 게 정상이다.

우리 몸의 정화시스템은

우리가 미처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부패한 것들을 밖으로 퍼내는 것이 정상이다.

온수기도 가끔 한 번씩 고장 나는 것이

정상이다.

이런 식으로 흘러가는 것이 삶의 속성이다.

 

*

우리는

삶이 우리 자신이나 다른 이들을 위해

매끄럽게 흘러가게 하려고

무진 애를 쓰지만

실제로 그렇게 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괴로움이나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고통이라는 말이 지닌

깊은 속뜻을 늘 명심하라.

고통은

세상이 결코 당신에게 줄 수 없는 것을

달라고 요구하는 데서 온다는 것을.

우리는

세상으로부터 절대로 받을 수 없는 것을

받을 것이라 기대하고 요구한다.

 

*

우리는

완벽한 가정, 완벽한 일자리를 요구한다.

우리는 자신이 세우려 하거나

마련하려 애쓴 모든 것이

알맞은 시간과 장소에서

완벽하게 굴러가기를 바란다.

물론 그렇게 하는 것은

결코 주어질 수 없는 것을

달라고 요구하는 것이다.

우리는 지금 여기에서의

깊은 명상과 깨달음을 바란다.

하지만 이 우주는 그런 식으로

굴러가지 않는다.

당신이 세상이 줄 수 없는 것을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면,

고통을 자초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할 것이다.

 

*

일을 할 때든 명상을 할 때든

가끔 일이 좋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가기도 할 것이라는 점을

받아들어야 한다.

세상이 당신에게 줄 수 없는 것을

달라고 하지 말고

그대로 관찰하라.

 

*

이 세상을 자기 마음에 들게 만들기 위해

다그치거나 밀어붙이려 하지 말고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놓아버려라.

자신의 몸과 마음과 가족과 세상과 싸울수록

부수적인 여러 가지 문제만 자꾸 불러일으켜

당신은 더 많은 괴로움을 겪게 된다.

 

*

이따금 우리가 나날의 삶에서 뒤로 물러나

그것을 깊이 이해할 때

우리는 큰 그림을 본다.

우리가 속한 절에, 우리 자신에게, 우리 삶에

잘못된 것이나 좋지 않은 게 전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좋지 않게 흘러가는 것이 바로

세상의 속성이라는 사실을 이해하게 된다.

붓다가 말한 고통이

첫 번째 성스러운 진리가

뜻하는 바는 이것이다.

 

*

당신은

자신의 삶이

제대로 굴러가게 하기 위해,

가정과 몸과 마음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하기 위해

일하고 싸운다.

하지만 이 모든 노력은

결국 뜻대로 되지 않거나 어그러진다.

 

[아잔 브람 명상론1] 아잔 브람 소개

2019. 11. 22. 17:32 | Posted by 랑세

 

저자 아잔 브람(Ajahn Brahmavamso Mahathera)은 파란 눈의 세계적인 명상 스승.

스님이 된 케임브리지대 물리학도. 세계적으로 유명한 태국의 고승 아잔 차의 수제자.

호주에 남반구 최초의 사찰을 세운 호주 불교의 개척자.

전 세계 불교계는 물론 대중을 감화시킨 《술취한 코끼리 길들이기》의 저자. 아잔 브람은 동양인도 불교신자도 아니었다.

1951년 영국 런던의 가난한 노동자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다.

기독교 학교에 다니며 성가대에서 활동하던 그는 열일곱 되던 해 우연히 불교서적을 읽다가 자신이 불교도임을 깨달았다.

하지만 불가에 귀의할 정도의 각성은 아니었다.

10대에 아버지의 임종을 보며 죽음이라는 것이 그런 것임을 깨닫고 마음의 동요 없이 아버지를 가만히 내려놓을 수 있었다.

당시 죽음에 그렇게 가까이 다가가보았다는 것을 큰 행운이라고 생각했다. 케임브리지대 장학생으로 물리학을 전공하며 엘리트 코스를 밟고 있던 어느 날, 그는 현대 물리학만으로는 자신을 둘러싼 사물과 인간, 그리고 세상과 삶의 이치를 설명할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

적어도 그는 폭탄 만드는 일보다 가치 있는 일을 하기를 바랐다.

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으면서도 그는 풀리지 않는 삶의 궁금증으로 고뇌했다.

그런 상태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 그는 태국으로 건너가 삭발하고 수행승이 되었다.

태국의 ‘살아 있는 붓다’로 불리는 아잔 차(Ajahn Chah Bodhinyana Mahathera)를 만나게 된 것은 그의 인생에 커다란 전기가 되었다.

동료 수행승이 아잔 차가 이끄는 숲 속 수행자들의 사찰인 왓농파퐁에 가서 사흘만 함께 지내보자고 했다.

사흘은 아홉 해가 되었다.

아잔 차와 함께 명상하며 가르침을 받은 그는 호주로 떠났다.

적도 아래(남반구) 인류 최초의 불교사찰을 세우기 위해서였다.

직접 벽돌을 쌓고 용접봉을 잡으면서 그는 일생을 노동자로 살다간 아버지를 연민했다.

그리고 한 가지 깨달음.

육체노동이든 정신노동이든 일이 고통스러운 것은 그 일을 ‘하기 싫어하는 마음’ 때문임을.

그런 깨달음을 얻으며 완성한 사찰이 바로 호주불교의 산실이자 수행승의 최대 커뮤니티가 된 보디니야나(Bodhinyana) 수도원이다.

이곳의 선원장인 아잔 자가로(Ajahn Jagaro)가 1994년 안식년 휴가를 떠나고 1년 후 본의 아니게 아잔 브람이 선원장이 되었다.

아픈 사람과 죽어가는 사람과 감옥에 있는 사람과 불교를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위해 그가 오랜 명상으로 터득한 ‘생각을 사라지게 하는’ 마음훈련법은 호주를 넘어 전세계로 전파되었다.

불교라는 동양 종교의 경건함을 견지하면서 서양인 특유의 유머러스한 언변으로 부드럽고 편안하게 법문을 가르치는 사이 그는 전세계에서 가장 존경 받는 명상 승려가 되었다.

각국으로부터 강연 요청이 끊이지 않았고 2002년에는 국제불교정상회담의 명법사가 되기도 했다.

그의 법문과 명상수행 지도는 산이나 사찰에서만 이루어지는 게 아니다.

물리학도 출신의 서양인 승려답게 그는 정보기술을 활용해 대중과 접속한다.

미국의 유명 저널리스트이자 소설가인 스티븐 배철러(Stephen Batchelor)와 함께 스카이프를 통해 듀크대 학생들에게 법문을 전하고 있다.

매주 금요일 사찰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라오는 그의 법문동영상은 전 세계에서 매년 수백만 명이 접속해 들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그가 서방 불교 수도승을 위해 영문으로 편집한 불교 입문 가이드 《승려의 길》은 서방의 수많은 불교 입문자의 수행 지침서가 되었다.

아잔 차가 세상을 떠난 후 아잔 브람은 아잔 차의 제자 가운데 가장 지혜로운 수행승으로 꼽히고 있다.

2004년에는 호주 커틴대로부터 최고 영예인 존 커틴 메달을 수상하기도 했다.

30년 동안 수행하며 쌓은 경험과 스승 아잔 차와 함께 보낸 에피소드와 고대 경전에 실린 이야기와 절에서 행한 법문 등을 모아 펴낸 《술취한 코끼리 길들이기》를 비롯해 명상 안내서 《마음챙김, 기쁨, 그 너머》 등 의 저서가 있다.

아잔 브람은 계속 사라지고 있고 그의 법문을 듣는 사람들은 계속 행복해지고 있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