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하고 싶으면 명상으로 마음의 눈을 떠라
글 윤종모 주교 | 편집 홍헌표 기자 2019-07-03
자아초월 심리학자인 켄 윌버는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눈은 3가지가 있다고 한다. 첫 번째의 눈은 육체의 눈(eye of flesh)이요, 두 번째의 눈은 마음의 눈(eye of mind)이며, 세 번째의 눈은 정관의 눈(eye of contemplation)이라는 것이다.
육체의 눈은 우리가 사물을 보고 사물을 인지하는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신체의 눈을 말하며, 마음의 눈은 사물의 외형 너머 의미의 세계를 볼 수 있는 지혜의 눈이며, 정관의 눈은 좀 더 깊은 차원의 영성의 눈으로 세상을 관조할 수 있는 눈이다.
나는 상담이나 명상, 혹은 정신건강 등을 강의할 때, 우리가 세상을 살아갈 때 정관의 눈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마음의 눈은 가지고 살아가라고 강조하곤 한다. 왜냐하면 마음의 눈을 가지게 될 때 우리는 좀 더 행복하고 좀 더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모두 행복하기를 원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의 행복지수는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에 비하면 턱없이 낮은 편이다. 왜 그럴까? 우리나라 사람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 혹은 성취할 수 있는 것에 비해 욕망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그래서 경제 규모에 비해 행복지수가 낮은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이 사실을 잘 모르고 있다. 그냥 우리가 가난하고 못 살기 때문에 행복지수가 낮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행복에 대한 외부적 요소, 예를 들어 돈, 명예, 권력 등은 언제든지 사라질 수있고, 빼앗길 수도 있다. 행복에 대한 좀 더 안전하고 완벽한 요소는 마음 속에 있다. 고대 그리스의 스토아 철학자들은 이 점을 일찍이 간파하고 “행복은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마음속에 있다"라고 주장했다. 그 외에 수많은 현자들이 이와 비슷한 말을 했다.
마음의 눈을 뜨면 이 사실이 보인다. 마음의 눈을 뜨면 삶과 더불어 세상의 모든 것들을 다른 각도에서 새롭게 보는 지혜가 생긴다.
행복하려면 욕망을 줄이든지, 아니면 그 욕망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을 키우든지, 그것도 아니라면 세상사 모든 일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마음 훈련을 해야 한다. 사실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마음의 훈련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직장에서 같은 일을 하며 같은 보수를 받고 있는 두 사람이 있다고 하자. 그런데 한 사람은 일은 많고 보수는 적어서 힘들어 못해 먹겠다고 늘 불평을 늘어놓곤 한다. 또 다른 한 사람은 일이 많아도 그 일로 많은 것을 배우고 있으며 보수가 적긴 하지만 아껴 쓰면 견딜만 하다고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면 누가 더 행복할까?
말할 것도 없이 후자가 더 행복할 것이다. 그리고 후자가 진급도 더 빠르고 삶을 더 성공적으로 살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은 모두 자신의 인생 각본을 가지고 살고 있다. 행복한 사람은 행복 각본을 가지고 살고 있고, 불행한 사람은 불행 각본을 가지고 살고 있다. 위에서 말한 두 사람 중에 전자는 불행 각본을 가지고 살고 있는 사람이며, 후자는 행복 각본을 가지고 살고 있는 사람이다.
그런데 마음의 눈을 뜨면 행복 각본과 불행 각본의 본질이 보이고, 자신이 어떤 인생 각본을 가지고 있는지 보인다. 미국의 상담 심리학자인 하워드 클라인벨은 마음의 눈을 ‘새로운 의식의 창’이라고 표현한다.
마음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라. 그러면 삶에 여유가 생기고,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긍정적인 면을 발견하고, 모든 것에 감사하는 마음을 형성하며 삶이 풍요롭고 행복해진다.
마음의 눈을 뜨게 하는 가장 좋은 도구는 명상이다. 행복하고 싶은가? 그러면 마음의 눈을 뜨라. 마음의 눈을 뜨고 싶은가? 그러면 명상하라.
윤종모 주교의 명상 칼럼(http://mindgil.chosun.com/client/board/view.asp?fcd=F1021&nNewsNumb=20190668136&nCate=C01&nCateM=M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