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전볍륜경>에서는
고통의 성스러운 진리를
철저히 이해하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는 고통을 극복하려 하거나
변화시키려 하거나
더 나은 것으로 만들려 하거나
도피하려 하지 말고
이해해야 한다.
*
힘겨운 때야말고
늘 달아나는 식의
쉬운 방관을 택하지 않고
가만히 앉아 고통과 직면하고
그것을 제대로 이해하기에
더 없이 좋은 기회다.
*
사람들은 고통이나 문제가 일어날 때마다
나름의 탈출구를 갖고 있다.
환상 속에 빠져 지내기, 영화보기,
인터넷 서핑, 책 읽기, 친구들과 수다 떨기,
차나 커피 마시기, 무작정 걷기 등.
그럴 때 우리는
무엇으로부터 빠져나오려 하는 것일까.
우리는 무엇을 얻기 위해
그런 환상들에 빠져드는 것일까.
상황이 별로 좋지 않거나
만족스럽지 않다는 문제에 대한
우리의 습관적인 반응은 이런 식으로 나온다.
*
봇다는 우리가 일상에서
어딘가로 간절히 가고 싶어할 때,
절 같은 데로 가고 싶어할 때,
혹은 지혜롭고 자유로운 사람이 되고 싶어할 때,
우리가 고통을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
고통을 참구하다 보면
우리 모두가
고통을 겪는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
<깨달은 여승들의 게송 모음長老尼偈 >에는
유명한 끼사고따미 비구니(여승)의
이야기가 나온다.
끔찍하게 사랑했던 어린 아들을 잃고
비탄에 빠진 끼사고따미를
사람들이 도우려 할 때
붓다가 택한 전략은
다른 사람들도 역시 죽는다는
자명한 사실을
그녀에게 일깨워주는 것이었다.
아들의 죽음은
우주에서 단 하나뿐인 사건이 아니라
다른 모든 죽음과
밀밀히 연관된 사건이라는 사실을
붓다는
끼사고까미가 죽음이라는 고통을
이해하기를 바랐다.
*
죽음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것은 존재 구조의 일부다.
죽음은 도처에 가득 차 있다.
우리는 그것으로부터 달아날 수 없다.
그래서 붓다는 끼사고까미에게
아들을 되살려내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들지 말고
그 문제의 보편성을
이해하라고 가르쳤다.
*
우리는 실상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것은 반길 만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실상이 이러하니 그냥 놓아버리라고?
그래서 어쩌라는 거야?'
이렇게 생각하는 것은
올바른 반응이 아니다.
*
우리가 고통의 문제,
우리가 처한 현실,
있는 그대로의 삶을
제대로 이해할 때 나올 수 있는
단 하나의 자연스러운 반응은
무엇이 오든 피하지도,
받아들이지도 않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염오다.
*
염오는 관여하지 않음을 뜻한다.
우리가 삶이라고 부르는 것을
외면해 버려야 한다.
현상을 변화시키려 하는 것은
우리를 삶 속에 더 깊이
휘말려들게 할 뿐이다.
현상을 받아들이는 것 역시
삶 속에 휩쓸려들게 할 뿐이다.
*
관여하지 않는 것이 올바를 반응이다.
관여하지 않음은
존재나 현상을 가만 내버려두고
그것들에 관심을 갖지도 않고
염려하지도 않음을 뜻한다.
그저 가만히 앉아 있을 뿐
자신이 체험하고 있는 것에
관여하지 않는다.
자신이 체험하고 있는 것에
관여하지 않을 때
우리는 삶으로부터 물러선다.
그것은 삶을 거부하는 것과 거의 비슷하다.
존재와 현상을 사라지게 만드는
일종의 거부나 무시 같은 것.
*
붓다는 안타가운 마음에서
사람들을 해산시키거나
물러가게 하는 법을 터득했다.
*
가끔 사람들은 딱히 더 좋은 할 일이 없어
다른 이들과의 이야기 속에 빠져들곤 한다.
나는 빈둥거리고 지내는 것을,
특히 안거(수행자들의 은둔수행기간)에 들었을 때
여러 시간 질문에 답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는
담마(Dhamma.붓다의 가르침. 진리)에 대한
답을 얻지 못한다.
그런 답은 생각을 자꾸 부추기는 것이 아니라
고요히 앉아 생각하기를 그치는 데서 나온다.
그러므로 누군가가 내게 질문을 던지면
나는 가급적 간략하게 답하려고 노력한다.
이런 식으로 사람들이 수다 떠는 일에
빠져들지 않도록 한다.
*우리는 그와 똑같은 방식으로
세상사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
어째서 그런 온갖 잡사에 관여하는가.
그것들을 바로 보라.
그것들이 당신에게 고통을 안겨주기만
할 뿐임을 깨달으라.
그것들은 당신을
피곤하고 산란하게 만들 뿐이다.
염오의 자세로 볼 때
이 모든 지각 대상은 하찮은 것이 되어버린다.